제품(상품) 구매, 투자이야기/나의 경제 투자 일지 18

자산 시장의 무한한 상승은 금리의 오르고 내림에 상관없고, 금리는 기름값과 연관됩니다. 하지만 전기차의 등장으로 기름값의 수요는 점점 줄어듭니다.

1. 물가 지표와 금리의 상관 관계는 없습니다. 따라서, 물가를 잡기 위해서 금리를 올리는 것은 아닙니다. 2. 금리의 오르고 내림은 기름값과 상관 있습니다. 즉, 미국이 기름을 싸게 사기 위해서 금리를 올리는 것입니다. 3. 기름값 가격이 장기 하락 된다면? 미국은 금리를 올릴 필요가 없습니다. 이는 테슬라 등 전기차의 새로운 세계로 인도하는 것을 뜻합니다. Since 2008 4. 자산 시장의 장기 추세선은 깨지지 않았습니다. 즉, 금리와의 상관 관계 없이 무한히 올라 갑니다. (ex 미국 S&P 지수) 5. 즉, 자산의 매입을 빚을 내서 하였다면 금리 인상으로 내야할 원금+이자 상환 가격이 높아진 것 뿐이지, 이는 자산 가격의 무한한 하락을 뜻하지 않습니다. 5. 물가는 금리의 오르고 내림의 상관 ..

왜 우리는 식품과 관련 된 일을 할 때 혹은 투자 할 때 영원히 먹고 사는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을 까?(feat. 강력한 투자인사이트2편)

삼성가의 제일제당 설탕사업 우리나라 제 1기업 삼성, 그 모태는 제일제당 설탕사업이라고 많이들 이야기 합니다. 영화 미나리의 미나리, 그리고 병아리 신세계 그룹, 롯데 그룹, 아마존, 쿠팡, 마이크로소프트 빌게이츠까지 세계 유수의 부자들은 식품에 목을 맵니다. 그리고 우리는 하루에도 몇번이고 마시고 먹습니다. 그리고 하루종일 먹는 생각만 합니다. 이처럼 식품은 본질적으로 반드시 필요한 필수재 산업이라고 합니다. 담배와 대마 같은 것도 하루라도 끊으면 살 수 있을까요? 결국 그 당이란 어떠한 물질이 인간을 끊임없이 소비하게 되고 끌어당기게 됩니다. 미국 대마 업체 틸레이 https://www.tilray.com/ https://www.tilray.com/ www.tilray.com 호주 농장에 대한 경험 ..

왜 우리는 식품과 관련 된 일을 할 때 혹은 투자 할 때 영원히 먹고 사는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을 까?(feat. 강력한 투자 인사이트 1편)

강력한 인사이트로 좌중을 이목을 압도 할 수 있는 투자의 귀재 버핏 할아버지와 늘 함께 하는 락앤버핏입니다. 최근 들어 제 눈에 들어온 기사 2개가 있는 데요, 바로 다들 아시다 시피, 1) SPC 교반기 사태 2) 푸르밀 퇴사 사태입니다. 가히 충격적인 뉴스라 온 나라가 들썩이고 있는 데요.. 저는 다들 이 뉴스의 보여지는 모습만 다루고 있지만 저는 본질적으로 다른 시각으로 업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 싶습니다. 두 가지 사건의 공통점이기도 하고요. 사실 이라고 하면, 인간이 먹고 사는 문제의 가장 원초적인 문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성욕, 식욕, 수면욕, 배설욕? 아무튼 인간이 해결해야 할 여러가지 욕구가 있는 데 사실 무성욕자도 많고 수면이야 어디든 잠자면 그만이고, 하지만 이 식욕은 매일 매일 꾸준히..

(전자책) 끝판왕 '밀리의 서재' 상장 임박?!

안녕하세요. '밀리의 서재' 열혈 구독자 락앤버핏입니다.! 오늘은 제가 구독 중인 '밀리의 서재' 에 대해서 리뷰하려고 해요. 저는 2019년 11월 부터 총 29개를 결재 했고요 매달 결재료 9,900원입니다. 저도 참 종이책 감성을 좋아하는 데 책을 계속 사게 되면 공간 문제가 항상 부딪히 더라구요 ㅜ.ㅜ 또 독서 모임을 하시는 분들은 맨날 책을 구매 해야 하나 싶기도 하고요. 제가 '밀리의 서재'를 직접 사용해보고 사용한 느낌점을 말씀 드리려고 해요. 밀리의 서재 장점 장점 1 최신 분야의 잡지 및 베스트 셀러들을 바로 보실 수 있습니다. 요즘 책들 많이 읽으시는 데 서점에 가면 꽤 보고 싶은 책들이 무척이나 많은 데 모두 다 구매할 순 없겠죠? 그래서 저는 '밀리의 서재' 를 이용한답니다. ^~^..

금리 인상

금리는 음악으로 따지면 리듬과 박자와 같은 경제의 속도의 역활을 한다. 미국의 장단기 금리 역전 현상 장단기 금리 역전 현상이 발생 했을 때 보통 경기 침체기 경기의 예측력 -> 장단기 국채금리스프레드 추이를 보면서 판단->크게 축소 된 것이 금리 인상을 시사하거나 경기 둔화를 예측한 것일 수 있음. 인플레이션 즉, 물가 상승은 서민들이 힘들기 때문에 금리를 인상 시켜 물가를 잡는다. 연준의 존재 목적도 국민을 잘 살기 하기 위함임. 다만. 금리를 인상 시켜도 물가를 안정시키지 못한다면 공급망의 문제임 금리를 못올리는 이유 금리를 올리면 기업이 힘들어지기때문 물가를 잡기 위해 올리기 위해 올리겠지만 수많은 대출받은 기업들을 위해 금리를 못 올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