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금리는 음악으로 따지면 리듬과 박자와 같은 경제의 속도의 역활을 한다.
미국의 장단기 금리 역전 현상
장단기 금리 역전 현상이 발생 했을 때 보통 경기 침체기
경기의 예측력 -> 장단기 국채금리스프레드 추이를 보면서 판단->크게 축소 된 것이
금리 인상을 시사하거나 경기 둔화를 예측한 것일 수 있음.
인플레이션 즉, 물가 상승은 서민들이 힘들기 때문에 금리를 인상 시켜 물가를 잡는다.
연준의 존재 목적도 국민을 잘 살기 하기 위함임.
다만. 금리를 인상 시켜도 물가를 안정시키지 못한다면 공급망의 문제임
금리를 못올리는 이유
금리를 올리면 기업이 힘들어지기때문
물가를 잡기 위해 올리기 위해 올리겠지만
수많은 대출받은 기업들을 위해 금리를 못 올림
'제품(상품) 구매, 투자이야기 > 나의 경제 투자 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정kpmg (0) | 2022.10.27 |
---|---|
왜 우리는 식품과 관련 된 일을 할 때 혹은 투자 할 때 영원히 먹고 사는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을 까?(feat. 강력한 투자인사이트2편) (0) | 2022.10.21 |
왜 우리는 식품과 관련 된 일을 할 때 혹은 투자 할 때 영원히 먹고 사는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을 까?(feat. 강력한 투자 인사이트 1편) (0) | 2022.10.21 |
(전자책) 끝판왕 '밀리의 서재' 상장 임박?! (2) | 2022.10.21 |
주택금융부담지수로 볼 때 현재 서울에 집을 살 수 있는 사람이 없다 (0) | 2022.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