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의 지분 증명
비트코인
1. 현상
지금까지 생산 활동과 관련된 문제는 기본적으로 시장과 기관, 두 주체가 제시하는 해결책
시장 판매자들과 기관의 입장 차이
비트코인의 등장 (새화폐의 출현)
첫째, 교환의 매개체, 물물 교환 방지
둘째, 가치의 저장소
셋째, 측정의 기준
넷째, 주조차익
화폐가 가지고 있는 내제가치
가상 가치
달러나, 비트코인과 같은 현대 화폐의 경우, 주조 차익 -> 화폐 전체의 가치
2. 본론
비트코인의 주조 차익
일부의 채굴 이윤의 형태로 채굴자의 손에 들어가고, 경비, 네트워크 유지 등
프라임 코인의 등장
도지 코인의 등장
라이트 코인과 유사한 형태, 기이한 형태 밈 코인
벤 화폐
결국 화폐란 것은 풀뿌리 마케팅에 전적으로 의존한다.
많은 업체에서 비트코인을 결재에 쓰인 다는 것은 철학에 동의 했기 때문
리플의 뛰어난 기술임에도 불구하고 중앙 회사에서 100% 발행
3. 결론
새로운 미래
경제적 민주주의를 위한 암호화폐
이제 특정한 가치나 이상을 지원하기 위해서 누구나 화폐를 찍어내는 것이 가능해졌고
사람들은 경제 활동을 하며 그 화폐를 사용함으로써 자신에게 관심 있는 아이디어를 지지할 수 있다.
우리가 지난 과거의 생활 습관에 얽매여 산다면
이를 테면, 노동을 해서 수익을 얻어야 하고 그 수익은 저축과 노동에서만 발생한다고 생각한다면
우리는 자동차도 타면 안되고 인터넷도 타면 안되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즉 생활 양식이 바꼈고 (과거에도) 미래에도 바뀔 예정이니, 화폐에 대한 개념도 새롭게 정의 해야 한다.
인류를 구할 천재 비탈릭이 생각하는 암호화폐의 미래
예술가, 팟캐스트, 음악가, 수학가 등
예를 들어 숫자 이론에 관한 연구를 장려하고 싶다면 수학 문제를 화폐에 삽입해
문제를 푸는 최초 사용자에게 자동으로 제공하는 구조의 화폐를 만들면 된다.
지역 화폐는 달러와 비교하여서 경쟁력이 떨어진다.
즉 암호화폐 비트코인처럼 달라와 같이 전세계 어디서든 사용할 수 있는 화폐가 필요하다.
현재에도 비용만 지불하면 거의 매일 새로운 화폐가 출시되고 있다.
과연 우리는 어떤 코인을 사야 하고 지지해야 하며, 코인의 미래와 미래의 자산의 미래는 어떻게 될 것인가
이더리움
비트코인 2.0
Layer 이론
비트코인 =TCP/IP
https://ko.m.wikipedia.org/wiki/%EC%9D%B8%ED%84%B0%EB%84%B7_%ED%94%84%EB%A1%9C%ED%86%A0%EC%BD%9C_%EC%8A%A4%EC%9C%84%ED%8A%B8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TCP/IP는 패킷 통신 방식의 인터넷 프로토콜인 IP (인터넷 프로토콜)와 전송 조절 프로토콜인 TCP (전송 제어 프로토콜)로 이루어져 있다. IP는 패킷 전달 여부를 보증하지 않고, 패킷을 보낸 순서와
ko.m.wikipedia.org
비트코인은 이메일 전송에 특화된 SMTP와 같다
https://ko.m.wikipedia.org/wiki/%EA%B0%84%EC%9D%B4_%EC%9A%B0%ED%8E%B8_%EC%A0%84%EC%86%A1_%ED%94%84%EB%A1%9C%ED%86%A0%EC%BD%9C
간이 우편 전송 프로토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원래는 사용자 인증절차가 규정되지 않았었지만, 인터넷의 보급과 함께 그 필요성이 요구되어, SASL 메커니즘을 이용한 인증기구가 SMTP-AUTH(SMTP Authentication)으로 표준화되었다. 인증방식으로 PLAIN,
ko.m.wikipedia.org
- 저자
- 비탈릭 부테린
- 출판
- 여의도책방
- 출판일
- 2022.09.27